(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모빌리티 컨시어지 플랫폼 기업 차봇 모빌리티가 몽골 시장 진출에 본격 나섰다. 차봇 모빌리티(대표 강성근)는 TS한국교통안전공단의 ‘2025년 TS 몽골 보이저(Voyager) 동행 프로젝트’에 참여해 몽골 현지에서 통합 모빌리티 솔루션을 선보이며 해외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6일부터 4일간 몽골에서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의 ‘2025년 제1차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 선정과제로, 총 13개 국내 우수 벤처·중소기업이 참여했다. 차봇 모빌리티는 이 중 하나로 선정되어 K-모빌리티의 경쟁력을 현지에서 직접 시연했다.
차봇 모빌리티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것은 단순한 제품 수출이 아닌 통합 수출 모델이다. EV 미니트럭, 자동세차 시스템, 중고차 인증 솔루션, 자동차 검사 디지털화 SaaS 등 차량 전주기를 아우르는 솔루션을 패키지로 제공하며, 현지 맞춤형 모빌리티 인프라 구축 계획을 제시했다.
이러한 통합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차봇 모빌리티가 국내에서 구축한 플랫폼 경쟁력이 있다. 현재 72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B2C 차량 관리 앱 ‘차봇’과 1천여 개에 달하는 정비·딜러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EV 공급부터 인프라 설비, 디지털 운영 시스템까지 통합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차봇 모빌리티는 이 같은 역량을 바탕으로 몽골 시장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내놓았다. 몽골은 인구 350만 명에 차량 등록 수가 140만 대를 넘는 높은 보급률을 보이지만, 정비·검사·세차·인증 등 기본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수입 차량의 80% 이상이 일본산 우핸들 차량으로 도로체계와 맞지 않아 사고 위험이 크고, 중고차 품질을 보증할 제도도 없다. 혹한의 기후와 열악한 세차 인프라도 운전자들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어, 차봇 모빌리티의 통합 솔루션이 주목받은 것이다.
프로젝트 기간 중 열린 ‘K-모빌리티 밋업데이’에서는 구체적인 성과도 이어졌다. 몽골 교통안전청 관계자는 “현재 몽골이 직면한 교통안전 문제와 환경 개선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이라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현지 물류기업들은 EV 미니트럭의 저온 환경 적응력과 경제성에 주목하며 협의 의사를 밝혔고, 세차장 운영 기업들도 자동화 장비를 통한 겨울철 서비스 안정성 확보에 호평하며 적극적인 도입 검토 의사를 보였다.
차봇 모빌리티는 이미 지난해 몽골 현지 기업 오토랜드와 협약을 맺고 K-중고차 수출 사업을 전개해왔다. 이번 Voyager 프로젝트는 기존 사업 영역을 EV와 차량 관리 인프라까지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몽골 정부 및 현지 기업과의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단계적 진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강성근 차봇 모빌리티 대표는 “몽골 Voyager 프로젝트는 차봇이 단순한 제품 수출을 넘어 플랫폼 기반 산업 모델을 현지에서 실증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몽골은 자동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동시에 제도와 인프라 개선 여지가 많아 차봇의 데이터와 플랫폼 역량이 가장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지역”이라며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몽골뿐 아니라 일본과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차봇의 경쟁력을 입증하며 확장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